본문 바로가기

퇴사준비/청약

[22년 12월] 지역별 입주/수요량으로 보는 투자 유망 지역 찾기(지방/광역시 위주)

각 지역별 인구수

경기도: 1,300만 / 부산: 350만  / 인천: 300만 / 대구: 250만 / 광주: 150만 / 대전: 150만 / 울산: 120만 / 세종: 35만
강원도: 150만 / 충북: 150만 / 충남: 200만 / 전북: 180만 / 전남: 180만 / 경북: 270만 / 경남: 330만 / 제주: 66만

 

1. 부산: 2023년 하반기부터 지켜보면 좋을 듯

2022년까지 수요량보다 입주량이 더 많아 보였다. 2023년도 또한 수요량보다 입주량이 더 많긴 하지만 2024년, 2025년으로 갈수록 입주량이 점점 줄어든다. 부산은 2023년부터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대구: 대표적인 하락장, 2024년까지는 안전하게 봐야한다.

.

대구는 현재도 전국적으로 유명한 대표적인 하락장인데, 2023년 2024년 입주량이 어마무시하다. 2024년까지는 함부로 대구에 투자하면 안 될 것으로 보인다.

 

3. 인천: 인천은 2023년에 꽤나 높은 입주량을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이기 때문에 지켜봐야 한다.

인천은 수도권에서도 많이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2022년 2023년 모두 수요량을 현저히 넘어서는 입주량을 보이고 있다. 확실히 입주량이 많아서인지 인천도 지금 가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는데, 인천도 수도권에 해당하기 때문에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4. ★광주: 광주는 2023년 입주량이 현저히 줄어든다. 지금부터 열심히 봐야 할 것 같다.

광주는 2022년 수요량에 비해 어마무시한 입주량을 보이고 있다. 이대로라면 2022년, 2023년 상반기에는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 같긴 하지만, 23년 24년 25년 3년가량 모두 수요를 받쳐줄 만한 입주량이 보이지 않는다. 지금부터 째려봐야 할 것 같은 지역이다.

 

5. 대전: 대전은 2023년 입주량이 현저히 떨어지나 2024년 2025년 공급량이 매우 많다. 어떻게 될지 궁금한 시장.

 

6. 울산: 23년은 조심해야 할 것 같지만, 추후에 공급이 없어 보이므로 지켜봐야 할 지역.

2023년에는 입주량이 수요량을 훨씬 넘어선다. 하지만 2023년 앞(2020년~2022년), 뒤(2024년) 모두 입주량이 수요량을 받쳐주지 못한다. 울산도 지켜보면 좋을 것 같다.

 

7. 세종: 공급이 계속 부족해 보이는 지역, 하지만 특수하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봐야 할지도.

세종은 어떤 곳인지 감이 안 온다. 그동안 너무 올랐기 때문에 현재 거품이 많이 빠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2023년, 2024년, 2025년 모두 공급이 뒷받침해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세종은 조금 더 조사해봐야겠다.

 


나는 아직 부린이이기 때문에 각 지역 특색을 잘 모른다. 큰 흐름만 알고 있을 뿐이다. 이 포스팅을 시작으로 각 광역시에 대해 손품을 팔아 조사해보고자 한다. 광역시가 완료되면 경기도 > 각 지방 별 큰 도시 위주로 손품을 팔아볼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