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LTV, DTI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부동산 뉴스에 많이 나오는 용어인데,
저도 모르겠어서 이번 기회에 공부를 했답니다!
1. LTV란?
LTV는 주택담보인정비율이라는 뜻입니다.
즉, 집을 담보로 대출할 때 대출금액의 한도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LTV는 집 가격의 몇퍼센트까지 대출이 가능한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1-1. LTV 계산방법
LTV(비율)에 부동산가격을 곱하면 주택담보대출한도가 나옵니다.
이 때, 부동산 가격은 한국감정원, 국세청, 국민은행의 시세 자료로 책정을 하거나 감정평가를 의뢰하여 측정합니다.
예시: 조정대상지역의 무주택자로 LTV를 60%로 적용받고, 4억원의 집을 구매할 때 대출가능한 금액은?
LTV 60%(=0.6) X 4억원 = 2억4천만원
즉, 대출은 최대 2억 4천만원까지 가능함.
2. DTI란?
DIT는 총부채상환비율이라는 뜻입니다.
이는 개인의 연소득에서 대출 원리금의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한마디로, DTI는 개인 소득의 몇 퍼센트까지 대출이 가능한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2-1. DTI 계산방법
DTI(비율)에 연간소득액을 곱하면 연간 대출상환액의 최대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연간 대출상환액이란 신규주택대출 원리금상환액 + 기타 대출의 이자상환액을 합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이때, 연간소득액은 미래의 예상소득까지 반영시킵니다.
예시: DTI 60%로 적용받는 지역에서 연소득이 4천만원일 때 대출금은 얼마일까
DTI 60%(=0.6) X 4천만원 = 2천4백만원
즉, 대출은 원리금상환액이 최대 2천4백만원을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만 대출이 이루어진다.
▶ 결국, LTV&DTI 비율이 감소하면 대출한도 금액이 줄어드는 것이며,
LTV&DTI 비율이 증가하면 대출한도 금액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오늘은 LTV와 DTI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뉴스에서 이 용어를 보면 헷갈릴 일이 없겠죠?
'퇴사준비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읽기] 쓸데 없는 이자를 내지 말자 <빚 때문에 고민입니다> (0) | 2021.10.30 |
---|---|
청약 통장 정말 쉽게 설명해드림!! (1) | 2021.10.26 |
[부동산] 경매 기본편 (의미, 종류, 방식, 배당) (1) | 2021.08.23 |
[부동산] 전세/월세 보증금 지키는 방법 - 전입신고, 확정일자 (0) | 2021.08.22 |
[부동산] 주택청약종합저축 2탄 - 해지, 가산점, 예치금 등 (0) | 2021.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