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EDXB1/btrCqHDzqRz/eZTAOkV1WZYz7d8Kee2PA1/img.jpg)
* 난이도
쉬움! (하루만에도 읽을 수 있음)
* 추천 대상
재테크 어린이, 마인드 세팅을 위하여 읽어보세요
* 느낀 점
어떻게 보면 다른 재테크 마인드를 말하는 책과 다르게 말하는 점은 딱히 없다
하지만 다른 책에 비해 조금 더 이 재테크 마인드에 대해 재미있게 얘기하는 듯한 느낌이 있다
딱딱한 느낌이 아니라 진짜 현실성 있는 친구가 따끔하게 조언해주는 기분이 든다
* 인상 깊은 구절
- 내가 더 부자가 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인가? 다른 친구들보다 더 많은 투자를 했기 때문이다.
돈만 생기면 어디에 투자할까를 늘 생각했다. 최소한의 생활비를 제외하고는 모두 투자했다.
- 일반적으로 종자돈 모으는 철칙은 ‘번 것보다 적게 쓰는 것’이다. 그러나 최선은 ‘아예 안 쓰는 방법’이다.
- 책에서 말하는, 우리가 극복해야 하는 9가지 본능
1. 무리 짓는 본능을 극복하고 외로운 늑대가 되어라
2. 영토 본능을 극복하고 들개처럼 돌아다녀라
3. 쾌락 본능을 극복하고 자린고비로 다시 태어나라
-> 부자가 되는 첫 걸음은 빚을 갚는 것
-> 부자들의 첫 번째 취미는 독서
4. 근시안적 본능을 극복하고 진득하게 버텨라
-> 신용카드를 벌레보듯 하라
-> 저축하고 난 뒤 소비하라, 가계부를 써라
5. 손실공포 본능을 극복하고 손절매 원칙을 손목처럼 지켜라
-> 고수는 손실을 볼 때 작게 보고, 이익을 볼 때 크게 본다. 전체적으로 이익을 보게 된다.
반대로 하수는 이익을 볼 때 작게 보나, 손실을 볼 때 크게 본다. 전체적으로 손실을 보게 된다.
-> 빚을 내더라도 내 집 마련하는게 유리하다.
-> 부자가 되려면 공포감을 극복하고 자기 사업을 하라
6. 과시 본능에서 벗어나 돈의 숨겨진 힘에 눈떠라
-> ‘원하는’ 것과 ‘필요한’ 것을 구분하라
7. 도사 환상을 극복하고 냉혹한 현실에 눈을 떠라
8. 마녀 환상을 극복하고 자본주의 게임의 룰을 익혀라
-> 부자가 되고 싶다면 남 탓하는 성격부터 고쳐라
9. 결함 있는 인식체계를 극복하고 부자의 눈을 떠라
-> 세상에 확실히 안전한 투자는 하나도 없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분산투자하라! 그래야 슬퍼할 일이 적게 생긴다
-> 부자 되는 주문을 걸어라
- 가난을 극복하는 10계명
1. 남들이 영화나 TV보며 즐거워할 때 지루한 재테크 책을 읽고 저축계획표를 작성하라
2. 남들이 명품 옷과 중대형차로 뽐낼 때 시장패션으로 센스를 높이고 소형차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라
3. 남들이 친구에게 호기롭게 한턱내며 기분 낼 때 눈 딱 감고 자린고비라는 비난을 감내하라
4. 남들이 휴일에 야외로 놀러 다닐 때 흙먼지 날리는 공사 현장이나 부동산 업소를 답사하라
5. 남들이 돈 많이 드는 골프, 스키로 시간을 보낼 때 돈 안들고 전신운동 되는 등산, 조깅을 즐겨라
6. 남들이 맛집 찾아다니며 돈을 낭비할 때 외식은 아예 생각하지도 말고 집에서 음식을 해먹어라
7. 남들이 최신형 휴대폰을 자랑할 때 구식 휴대폰을 자랑스럽게 들고 다녀라
8. 남들이 세계 곳곳을 돌아다닐 때 국내여행으로 휴식이 있을 여행을 즐겨라
9. 남들이 대충대충 통크게 살 때 10원 하나까지 꼼꼼하게 가계부를 기록하라
10. 남들이 전세 살면서도 좋은 옷에 좋은 음식, 좋은 차 탈 때 내 집을 사고 융자를 갚아나가라.
- 쇼핑은 날 짜를 정해 놓고 반드시 그날만 쇼핑하도록 하는 것도 한 방법,
저축에 성공하면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어라
'퇴사준비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PER, PBR, ROE 정~말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이걸 보세요 (0) | 2022.06.26 |
---|---|
[서평] 돈의 흐름 - 전인구(경제 초보에게 추천) (0) | 2022.05.30 |
30대 짠순이의 저축률 높이는 3가지 방법 (0) | 2022.03.20 |
[미국 주식] 미국 시장/미국 기업의 정보를 한눈에 보기(Webull, 위불 어플소개) (0) | 2022.02.03 |
[미국 주식] 실시간 주가 확인하는 어플&사용방법 (CNBC, 미국 주식 필수앱) (0) | 2022.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