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년생의 직장인이 5년 만에 강남에 내집마련했다는 영상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CInc8/btrkIP6FknY/qn9sywSQ18baEFKO2KB4Fk/img.png)
우선 주인공 역시 짠돌이라고 한다
역시 돈 없는 사람들이 돈 모으는 가장 첫번째로
중요하고 간단한 방법은
돈 안쓰고 돈 모으는 방법인 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ctF97i/btrkIPZUnMg/eJJUfkqOogkD14CsaCkQu0/img.jpg)
5년 동안 부모님 집에 살면서
차도 포기하고 독립도 포기하고
그렇게 돈을 아껴왔다고 한다
(부모님 품이 이렇게도 좋은 것..)
![](https://blog.kakaocdn.net/dn/C8v41/btrkJnhKqGX/D0nl7Op4XFLZWENBeVmmAk/img.jpg)
주인공의 월급은 300에서 350 사이라고 한다(부럽다)
여기서 약간 괴리감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pZZKh/btrkOkdtVkr/my78bCxsO6tXGuVTKAKZo1/img.jpg)
300만원을 버니 50퍼센트를 저금해도
150만원이나 생활비가 생긴다고 생각해도 좋다
내 월급으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
150만원 생활비 쓰면 내 월급은 남는 게 없다
(슬픈 공무원의 현실)
![](https://blog.kakaocdn.net/dn/lvYTa/btrkHKSg9B8/0goLpUtPI7uoUKj034lzD0/img.jpg)
150만원씩 매월 모으면
5년 뒤면 9천만원이 되는데,
여기에 각종 상여금을 받은 것을
거의 70~80% 저축했다고 한다
그래서 주인공은 5년만에 1억 중반 정도의 돈을 모았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vWvZD/btrkIPMj0Pm/dxnSaolYJhD9UfYnGHa3Ck/img.jpg)
그에게는 그 달 들어오는 모든 돈의 합계를 적는 엑셀 파일이 있고,
그 엑셀파일이 자동으로 위의 퍼센티지에 맞게 금액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그대로 사용한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wG5tq/btrkSOE62xI/jOAthWNQFmDwUml02JdGl0/img.jpg)
그에게는 모든 수입이 들어오는 저수지 통장이 있다고 한다
저수지 통장으로는 월급, 주식 배당금, 만기된 적금 등 모든 수입이 들어간다고 한다
그리고 그 저수지 통장으로 들어온 돈은
그가 용도별로 나눈 통장으로 모두 나눈다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ueWMS/btrkJnB2zob/03f0N8UD6jETvTarKK1k0K/img.jpg)
주인공은 그래서 통장이 10개나 된다고 한다
위의 엑셀표에 나오는 항목별로 통장을 만든 것 같다
즉, 지출 관련 통장으로는
생활비 통장, 사고싶은거 통장, 여행비 통장, 경조사비 통장.. 이런 식으로 다 나눠져 있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GPtb3/btrkHoPvJFe/YmslgwgF1LqLzWl7HRIuY1/img.jpg)
그는 집을 산 후에도 돈을 아끼기 위해
직접 셀프 리모델링을 했다고 한다
물론 전문가가 필요한 작업은 전문가에게 맡겼다고 하지만
유튜브나 블로그 보고 배울 수 있는 것은 직접 했다고 한다
나는 이 영상을 통해서
1. 통장을 용도 별로 여러 개를 갖자
2. 저축을 50프로 이상을 하자
이 두가지를 나의 삶에 적용해보기로 하였다
사실 최근에 복직하면서 돈을 최대한 안쓰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실제로 지출이 확 줄어들었지만
가족이 병원에 다녀야 하는 일이 생겨서 큰 돈을 지출하게 되었다
(미리 건강관리를 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되었다)
즉, 새로운 빚이 더 생겼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제 병원 갈 일은 없어졌고
영상의 주인공처럼 최대한 아껴보려고 한다.
여기서 나의 수입을 공개한다
(어차피 나는 공무원이니 우리나라 국민 모두에게 공개되어있는
법률에 따라 월급을 받는 사람이라 공개해도 별 문제가 없다
단지 월급이 너무 작아…….. 마음이 아플 뿐)
적금 6% - 12만원
청약 5% - 10만원
주식 40% - 80만원
비상금 5% - 10만원
= 저축으로 56% 112만원
생활비 16% 32만원
여행비 5% 10만원
부모님 4% 8만원
경조사비 2% 4만원
취미생활 5% 10만원
용돈(카드값) 12% 24만원
= 지출로 44% 88만원
으로 정확하게 나뉘어졌고,
앞으로 통장을 여러개 나누어 모두 이렇게 저금할 예정
다만 적금통장은 따로 만들지 않고
현재 마이너스 통장인 상황이라 마이너스 통장에 그대로 둘 예정이다
'퇴사준비 > 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복리만 이해해도 10년뒤 억대 자산가 될 수 있습니다(쉽게 설명!) (0) | 2021.12.13 |
---|---|
재테크 초보에게 추천하는 유튜브 - 14F 아이돈케어 (feat. 유수진) (0) | 2021.12.02 |
[책읽기] 쓸데 없는 이자를 내지 말자 <빚 때문에 고민입니다> (0) | 2021.10.30 |
청약 통장 정말 쉽게 설명해드림!! (1) | 2021.10.26 |
[부동산] LTV란? DTI란? 대출 규제! (0) | 2021.08.24 |